우분투 20.04 서버에서 PHP7.4 환경으로 운영하다 PHP8.0 버전이 출시됐다고 해서 잠깐 시간을 내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7.4 버전도 사용하는 데 지장이 전혀 없고, 오히려 8.0 버전에서…
우분투 18.04 서버는 공식적으로 PHP 7.2 버전이 탑재되어 있다. 7.2 버전을 사용함에 있어 문제가 되진 않지만 요즘 서버 관련 세팅을 하다보니 귀찮아서 미루고 있던 PHP7.4…
ubuntu 16.04 서버에 jenkins 설치하는 방법이다. 설치는 apt 를 이용해서 진행한다. 1. openjdk 8 설치 jenkins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java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 2. jenkins…
Ubuntu(우분투) 18.04 에서 ngx_pagespeed 모듈을 포함한 deb 패키지를 컴파일 하는 방법이다. nginx.org 에서 배포하는 패키지에는 pagespeed 모듈이 없기 때문에 직접 소스 컴파일 후 nginx를 설치하거나…
puppeteer 는 nodejs기반 헤드리스 브라우저 컨트롤 API 이다. puppeteer 를 이용하여 네이버 회원 로그인 후 네이버 메인 스크린샷을 출력하는 코드이다. puppeteer 설치 npm install –save…
운영 중인 서버의 모니터링을 위해 netdata 를 사용하고 있다. 리얼 단독서버인 경우에는 디스크의 오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하는데 netdata 에서 S.M.A.R.T 정보를 차트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관리하는 서버가 많아지니 서버의 uptime 체크 후 재부팅하는 것도 일이다. 그래서 각 서버에서 cron 으로 uptime 체크 후 일정일 이상 경과했으면 보안패치 등을 적용하고 자동…
우분투 서버에 nginx 최신 안정버전, php 7.2.x, mariadb 10.3.x 버전 설치를 위한 스크립트이다. 아래 스크립트트를 server.sh 등으로 저장한 후 실행 권한을 준 후 실행한다. 사용자명,…